Milky's note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38회 자격증 취득 후기 본문

밀키의 다이어리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38회 자격증 취득 후기

밀뿌 2023. 10. 6. 17:16

ADsP란?

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 Advanced Data Analytics Semi-Professional)란 데이터 이해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분석 기획 및 데이터분석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실무자를 말한다.

 

자세한 내용은 K data 데이터자격검정 사이트에서 확인

 

과목 및 내용

총 3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 이해 과목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을 검정하는 시험이다.

 

출제 문항수 및 배점

객관식 40문항, 단답형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50문항이다.

60점(30문제) 이상을 획득하면 합격이며, 각 과목 당 40% 미만은 과락이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주관적인 공부법

사실 나는 전공자이다. 헤헤 ...

그래서 사실 일주일이면 되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시험 공부를 미뤘고 큰 프로젝트의 인수인계 업무가 겹쳐서 더 미루는 바람에 시험 이틀을 남기고 공부를 시작했다. 

책을 사서 보려고 했으나 뭔가 전공자라는 이상한 자존심에 기출문제만 보면 되지 생각으로 기출문제를 찾아서 풀어보았다.

1과목은 너무 쉬웠고 2과목을 열자마자 눈물이 나왔다,,

2과목은 암기를 하지 않으면 도저히 합격할 수가 없는 과목이었다.

그래서 잠시 미루고 3과목을 열었으나 최근에 데이터 엔지니어 업무만 하다보니 분석 쪽은 거의 문외한이 되었고 (구구절절) 역시나 통계에서 버벅거리기 시작하였다. ^_^

 

그래서 내가 공부한 방법은 EduAtoZ - Programming 라는 유튜브 강의를 보면서 기출문제를 풀고 외우고 노션에 오답 노트도 정리하고 문제가 부족하다고 생각되어 여러 기출 사이트에서 문제를 미친듯이 풀었다.

저 유튜브 강사님은 여러 해의 시험 노하우와 많이 나오는 문제들을 잘 알려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

 

ADsP는 문제 은행식으로 기출되었던 문제들이 자주 출제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기출 문제를 꼭 풀어보는 것을 추천하고 개념을 잘 정리해야한다. 요즘에는 ADP나 빅분기 관련 문제도 많이 나온다고 한다. 지난 회차때 ADP 범위의 문제가 나와서 이의제기를 했지만 기각됐다고 한다. 그래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만 보지 말고 전체적으로 보는 것을 추천한다.

 

비전공자라면 단순 책으로 회귀분석 같은 통계나 SQL을 풀기 어렵기 때문에 유튜브 강의를 구독하는 것도 추천한다.

시험에서 나오는 내용을 압축적으로 잘 전달해주시고 책에도 나오지 않는 그래프 해석 문제들도 따로 설명해주신다고 한다. 

그래서 결과는 2과목 아슬아슬하게 통과해서 합격했당!! 

내가 ADsP를 응시한 이유는 ,,,,,, ADP(합격률 3% ㄹㅈㄷ 자격증)를 응시하기 전 약간 마음 고르기 같은 느낌으로 응시를 했었고 만만하게 봤지만 나름 시간을 써야한다. 비전공자라면 넉넉하게 한달의 공부 기간을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내년에 SQLP, 빅분기, ADP 응시를 도전할 것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후기를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Comments